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를 위한 공부

이모티콘으로 돈 버는 방법

by 은콩이 2022. 12. 27.

안녕하세요! 은콩이입니다. 오늘은 제가 도전하려고 해 보는 이모티콘을 주제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온라인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들 중에 인기를 얻고 있는 방법입니다. 작가나 디자이너만이 도전해 볼 수 있는 것이 아닌 어린아이부터 연령이 높은 사람들 까지 제약 없이 도전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모티콘으로 어떻게 하면 돈을 벌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탁자 위 커피, 핸드폰, 메모장, 펜이 놓여있는 사진
이모티콘으로 돈벌어보기

1. 카카오 이모티콘 스튜디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쓰는 카카오톡은 거의 한국인이라면 카카오톡이 핸드폰에 깔려 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가장 수요가 크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이모티콘 업계에서도 카카오톡은 엄청난 비중을 차지하고 카카오톡 이모티콘 안에서 순위권에 든다고 하면 억대 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말도 각종 미디어를 통해 접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정오목 작가가 있습니다. 하지만 카카오톡 이모티콘에 입점할 수 있으려면 심사를 통해 통과가 되어야 하는데 승인 난이도가 굉장히 높습니다.

카카오톡의 이모티콘 절차는?

이모티콘을 만들어서 제안하기 > 약 2~4주의 승인/미승인 발표 > 이모티콘 상품화 > 출시

제안 기준

1. 멈춰있는 이모티콘

: 32개의 시안을 필요로 하며, 360x360px 사이즈를 규격으로 PNG 제출입니다.

 

2. 움직이는 이모티콘

: 24개의 시안을 필요로 하며, 이모티콘 컨셉 확인을 위한 3개 GIF, 그리고 21개 PNG 제출입니다.

 

3. 큰 이모티콘

: 16개의 시안을 필요로 하며, 540x540, 540x300, 300x540 총 3가지 형태의 사이즈 중 선택하고 3개 GIF, 13개 PNG 제출입니다.

심사기간

보통 2~4주 정도 소요되며, 카카오톡 이모티콘은 다른 플랫폼과 중복해서 제안이 불가능하여 유의해서 제출해야 합니다.

 

2. 네이버 OGQ (오지큐) 

네이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모티콘 시장으로 네이버 댓글 또는 블로그와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 스티커 개념의 이모티콘입니다. 카카오톡 플랫폼에 비하여 승인이 빠른 시간에 되는 장점이 존재하여 카카오톡에서 미승인된 작품을 이곳에 제출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합니다. 또한 카카오톡 플랫폼 보다 승인이 굉장히 잘되는 편이라 접근해보기 좋습니다. 

네이버 OGQ 이모티콘 절차는?

콘텐츠 제작 및 제안하기 > 약 2주간의 심사 후 발표  > 판매 시작

제안기준

1. 멈춰있는 스티커

: 24개의 시안을 필요로 하며, 740x640px 사이즈를 규격으로 PNG 제출입니다.

 

2. 애니매이션 이모티콘

: 24개의 시안을 필요로 하며, 740x640 px 사이즈를 규격으로 모두 GIF 파일 제출입니다.

심사기간

보통 약 2주 정도 소요되며, 다른 플랫폼과 중복제안이 가능합니다.

 

3. 네이버 밴드 파트너스

네이버 밴드 플랫폼은 주로 30~40대 이상의 연령층이 사용하는 메신저입니다. 연령층의 영향으로 조금 더 따뜻하고 정이 느껴지는 착한 이모티콘이 많다고 합니다. 주로 동아리, 스터디, 등의 모임들로 형성된 플랫폼 특성으로 카카오톡 다음으로 수익이 높고 사용자 층이 조금 높을 뿐이지 이용하는 사람들이 꽤 많습니다. 하지만 승인되기가 쉬운 편은 아니라고 합니다.

네이버 밴드 이모티콘 절차는?

이모티콘 제작 및 제안하기 > 약 2~4주간의 심사 후 발표  > 약 한 달 반 정도 상품 제작 > 출시 후 판매

제안기준

1. 멈춰있는 스티커

: 5개의 시안을 필요로 하며, 최대 370x320 px 사이즈를 규격으로 모두 PNG 제출입니다.

 

2. 애니메이션 스티커

: 8개의 시안을 필요로 하며, 370x320 px 사이즈를 규격으로 3개 GIF 파일, 5개 PNG 제출입니다.

심사기간

보통 약 2~4주 정도 소요되며, 다른 플랫폼과 중복제안이 가능합니다.

 

4. 라인 크리에이터스  마켓

라인 메신저에서 사용할 수 있고 하루에도 굉장히 많은 양이 출시되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자신의 작품이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해외의 사용자가 많고 주로 일본과 중국 사람들이 많이 이용합니다. 때문에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외국어를 사용한 이모티콘을 제시해야 합니다. 카카오톡보다 승인은 쉽고 빠르게 판매될 수 있지만 수익을 내기는 쉽지 않습니다. 

라인 크리에이터스 이모티콘 절차는?

이모티콘 제작 및 제안하기 > 약 1~2주간의 심사 후 발표  > 출시 및 판매

제안기준

1. 멈춰있는 스티커

: 5개의 시안을 필요로 하며, 최대 180x180 px 사이즈를 규격으로 모두 PNG 제출입니다.

 

2. 애니메이션 스티커

: 8개의 시안을 필요로 하며, 180x180 px 사이즈를 규격으로 3개 GIF 파일, 5개 PNG 제출입니다.

심사기간

보통 약 1~2주 정도 소요되며, 다른 플랫폼과 중복제안이 가능합니다.

 

 

 

집에 있는 것을 좋아하고 돈을 벌어보고 싶은 사람들은 이모티콘을 만드는 도전을 해서 수익을 내보는 것은 어떨까요? 저는 어렵게 생각하지 않고 일단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여러 개를 출시해서 패시브 인컴을 만드는 그날까지 노력해 봅시다!!

 

 

 

반응형

댓글